study hard!

산소, CO, H2S, CO2 , LEL

Hits: 11

중대산업재해 기준에서 “공기 중 산소농도가 부족한 장소에서 발생한 산소결핍증” 에 해당하는 공사를 진행중이다…

무선 가스감지기 사용을 위함인데…공사 관련된 이야기 보다는 현장에서 실제 어떤 수치로 관리되는지를 정리하고자 한다.

규격
측정항목1차2차
관리상한관리하한규격상한규격하한
O2(산소분자)23.5% 이상19.5% 이하23.5% 이상18.0% 이하
HC(탄화수소)
가연성
10% LEL40% LEL
CO(일산화탄소)15 ppm30 ppm
H2S(황화수소)5 ppm10 ppm
CO2(이산화탄소)1vol%1.5vol%
< 세부 수치는 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>

자 그럼 하나하나 따져보자…

O2 산소

산소결핍증 : 공기중 산소 농도가 18% 미만인 상태에서 결핍된 공기를 흡입하여 생기는 증상 ( 자각증상은 16% 정도에서 나타남 )

  • 구조전 환기
  • 폴발가스 혼입우려 -> 전기 스위치 조작 금지
  • 구조자는 손기식 호흡기 사용 ( 여과식 X )
  • 재해자 안전장소 이동
  • 호흡중지 시 CPR 실시
  • 구출 후 신선한 공기 흡입유도 -> 쇼크방지

HC 탄화수소

일반적으로 자동차 배출가스로 알고있으며, 대기오염의 원인이기도 하나 공사 현장에서 흡입 시 호흡계 계통의 점막, 피부, 눈 등을 자극하며 심하면 혼수상테에 빠지게 된다.

CO 일산화탄소

불완전 연소로 발생하며 무색 무취라 감지기의 역활이 중요함(뭐 다 그렇지만..), 산소 호흡을 방해하여 산소결핍증으로 이어질 수 있음

  • 무조건 신선한 공기가 있는 곳으로 이동시켜야함

H2S 황화수소

700 ppm을 초과시 신경독성 작용이 일어남, 호흡기 자극증상으로 의식을 바로 잃을 수 있으며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많음

  • 작업전 안전보건교육으로 위험요소 상기 및 방지
  • 출입구 “관계자외 출입금지” 혹은 “가스작업중 절대주의”등의 표지판 설치
  • 측정장비, 환기팬, 공기호흡기 등 구비
  • ㄴ양압식 공기호흡기, 송기마스크 착용 후 CPR(심폐소생술 : 인공호흡2, 흉부압박30 반복)

CO2 이산화탄소

크..이 지구 온난화의 주범(?)..ㄷㄷㄷ 이산화탕소 역시 밀폐공간의 산소를 치환하여 산소부족현상을 일으키며 무색,무취이기 때문에 주의해야함

  • 눈에 들어감 -> 물로 씻어냄
  • 피부 접촉 : 비누와 물로 씻어냄 -> 심하면 의사진찰
  • 흡입 : 신성한 공기지역으로 이동, 심하면 인공호흡
  • 단기간 노출시 질식,두통,졸음,현기증,의식불명,혼수,호흡곤란 등을 유발하며 장기간 노출 시 신경계까지 영향을 줄 수 있음

Leave a Comment